질벼의 마침표 음식 속에 해답이 있습니다 2. 식물이 만드는 영양소(파이토케미칼) 이야기 > 칼럼 | 한국푸드닥터

2. 식물이 만드는 영양소(파이토케미칼) 이야기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칼럼 HOME

2. 식물이 만드는 영양소(파이토케미칼)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푸드닥터 댓글 0건 조회 222회 작성일 21-02-26 13:29

본문

2. 식물이 만드는 영양소(파이토케미칼) 이야기

동ㆍ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들은 자연이라는 외부환경에 적응해가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생명체는 외부의 변화에 자신을 의탁하는 타율적 존재인 기립지물의 식물과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적 존재인 신기지물의 동물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연에 적응해가는 방법은 동일하기도 다르기도 하면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물들은 자기 스스로 움직이질 못하므로 외부환경에 적응해가면서 생명을 유지하고 종족 번식을 위하여 카로틴류나 플라본류, 글루코스, 자일로스 및 색소, 향 등 소위 파이토케미칼류(식물영양소)라고 불리 우는 식물 영양물질을 만들어 자신을 지키고 노화를 방지하며 종족을 번식시키고 있습니다.

발육초기에는 발육에 필요한 성분을 자연으로부터 끌어 들이기 위해 수렴작용이 강한 성분(신맛 나는 성분)과 외부적으로 자신을 보호받기 위하여 독성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식물이 성장이 되고 종족을 번식을 할 때가 오면 움직이는 동물이 먹기 좋게 단맛이나 맛있는 성분을 만들어 번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변화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식물들이 살아가기 위하여 하고 있는 작용 중에 일부분만을 이해하고 활용하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보면 식물들이 살기 위한 생존의 방식은 꽤 흥미롭고 불가사의 한 힘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해충의 습격을 막기 위한 성분을 만들어내기도 하고 우기, 폭풍이나 태풍, 지진, 화산폭팔 까지 자연의 변화를 인간이 느낄 수 없는 소리나 파장으로 식별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도 같습니다. 또, 화초나 약초에서 만들어 내는 진동으로 질병으로 낮아져 있는 몸의 진동을 높여서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회복시켜 주는 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